출산 이후 육아, 정부가 든든히 지원합니다
0세 월 100만 원, 1세 월 50만 원 현금 지원
2025년 부모급여 안내
📌 부모급여란?
2023년부터 시행된 제도로, 만 2세 미만(0세~1세)의 영아를 양육하는 가정에 대해 매월 현금을 지원하는 보편수당 제도입니다. 소득 기준 없이 모든 가정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1️⃣ 지원 대상 및 기간
· 출생 후부터 만 23개월까지 양육하는 모든 가정
· 소득, 자산, 가족 형태와 관계 없이 지원 대상
· 출생 후 0~1세까지, 최대 24개월간 월별 지원
2️⃣ 지원 금액
| 연령 | 월 지원액 | 총 지원액 (최대) |
|---|---|---|
| 만 0세 (0~11개월) | 100만 원 | 1,200만 원 |
| 만 1세 (12~23개월) | 50만 원 | 600만 원 |
·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 바우처 우선 지원, 차액을 현금으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.
3️⃣ 신청 방법 및 시기
· 온라인: 복지로 또는 정부24 웹사이트
· 방문: 주소지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
· 출생 후 60일 이내 신청 시 출생일부터 소급 지급
4️⃣ 주요 특징 및 유의사항
· 부모급여는 아동수당, 육아휴직 급여와 중복 수급 가능
· 만 2세가 되면 자동 종료되고, 이후 가정양육수당으로 전환됨
· 신청하지 않으면 해당 월분은 지급되지 않으므로, 꼭 신청 필요
5️⃣ Q&A
Q1. 어린이집 보내면 부모급여 못 받나요?
→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 바우처 우선 지급되며, 차액은 부모님 계좌로 지급됩니다.
Q2. 육아휴직 급여와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?
→ 네, 부모급여는 육아휴직 급여, 아동수당과 모두 중복 가능하여 부담을 크게 줄여줍니다.
Q3. 신청 안 하면 언제부터 끊기나요?
→ 신청 전에는 지급되지 않으며, 만 2세 생일까지 신청하면 소급 지급될 수 있습니다.
Q4. 다태아나 쌍둥이도 각각 받을 수 있나요?
→ 네, 아동 1인당 별도 지급되므로 각각 신청 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Q5. 미래에 대상 연령이 확대될 예정인가요?
→ 정부는 2026년 이후 확대 논의를 진행 중이며, 추후 반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